지난화, 블랙홀 #4에서 이제 당신은 블랙홀로 빨려들어가 버렸다.
이제 우리우주와는 바이바이다.
잘가시게...
근데말이지, 지난화에 보면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것 같아서, 부모와 형제를 모두 데리고 왔다.]
라는 말이 있었다.
부모와 형제분들은 블랙홀로 사라지는 당신을 어떻게 바라볼까?
설명을 쉽게 하기위해서
언뜻 생각하면 정말 미친 행동이지만, 물리학 실험을 한다고 생각하고
당신은 멀리서도 보이는, 아주 커다란 시계와
푸른 불빛을 내는 램프를 각각 들고 블랙홀로 빠져들었다고 하자.
우주선에서 시계를 맞추고, 당신은 블랙홀로 떠나갔다.
물론 블랙홀을 잘 고르기만 했으면, (즉 조석력에 의해 몸이 찢겨 나가지 않을 정도의)
사건의 지평선에 가기까지, 당신은 시계가 아주 잘 가고 있으며
램프는 여전히 푸른 불빛을 내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는 계속, 빨라지며 사건의 지평선, 나아가서는 특이점으로 떨어지게 된다.
당신의 입장에서는.
그러나!
부모와 형제들은 그런 당신을 보며 손을 흔들고 있을 거라고 착각하지 마라.
블랙홀로 조금만 가까이 가면, 그들은 당신을 볼 수 없게 된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기본적으로 시간과 공간이 휘어진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은 관찰자에 따라 다르게 느껴진다.
특수상대성이론에서는 운동하는 관찰자의 시계는 다르게 간다고 말하며,
일반상대성이론에서는 가속운동하거나 중력이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시계가 다르게 간다고 말하고 있다.
블랙홀 근처에서는 중력이 강하다.
따라서 바깥쪽과 확실한 시간 흐름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
바깥에서 보기에는, 블랙홀로 다가가는 물체의 시간이 점점 느리게 가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에! 사건의 지평선에 도달할 때 까지 시계가 보인다고 하면
당신의 부모님은 당신이 사건의 지평선으로 다가갈 수록, 점점 느리게 접근하며
시계의 시간이 흐르는 속도는 점점 느려지더니, 멈추게 되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잠시 퀴즈(-_-;)를 내겠다.
빛의 색상은 무엇에 따라 결정되는가?
답은 빛의 진동수(혹은 파장) 이다.
여기서 진동수는 파장에 반비례한다.
서로 다른 진동수나 파장을 가진 빛은 서로 다른 색으로 보인다.
가시광선의 영역만을 놓고 보면, 빨간색 쪽이 파장이 길고, 보라색 쪽이 파장이 짧다.
무지개를 알고 있는가?
그것이 빛의 연속 스펙트럼이다.
무지개에 나타나는 색상은, 정확히 빛의 파장 분포에 따른 색상 변화를 나타낸다.
* 파장은 진동수에 반비례하므로, 파장이 길면 진동수는 작을 것이다.
블랙홀 주위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고 했다.
그러면 당신이 들고간 푸른 빛을 내는 램프는?
바깥에서 보기에, 램프가 나오는 빛은, 단위 시간당 원래보다 적은 수를 진동할 것이다.
당신이 블랙홀에 접근할수록
그 램프는, 초록, 노랑, 주황, 붉은색을 띄다가
... 안 보이게 된다.
가시광선 영역을 벗어나 적외선 영역으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당신도 마찬가지다.
부모와 친치의 눈에는, 당신도 점점 붉은빛을 띄게 되다가 결국 보이지 않게 된다.
물체는, 물체에 반사되거나 물체에서 나온 빛이 눈에 들어와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앞에서 적색 편이 현상이다.
결론적으로 당신을 따라온 부모, 형제들은 당신이 사건의 지평선에 다가감에 따라
점점 느려지는 시계와, 붉어지는 당신을 보며 열심히 손을 흔들다
당신이 블랙홀로 접근함에 따라, 보이지 않게 되자
"가 버렸네" 라고 말하며, 집으로 돌아가겠지.
Alas...
ps.
일반적인 경우에 블랙홀로 들어가면 다시 나오지 못합니다.
앞에서 경고했듯이,
블랙홀에 들어갔다가 빠져 나올 수 있다는 강력한 연구 결과와 믿음이 있거나,
나는 죽어도 상관없다라고 생각하지 않으면
절!대!로! 블랙홀로 들어가지 마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www.mediamob.co.kr/kys8912/blog.aspx?ID=107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