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글39

에너지와 자본주의에 대한 小考 4 세계화의 뿌리는 무엇인가 에너지와 자본주의에 대한 소고(小考) (4) “We have now sunk to a depth at which restatement of the obvious is the first duty of intelligent men” ? George Orwell 우리 사회는 이제 자명한 일들을 다시 언급해야 하는 것이 지식인의 첫번째 사명이 될 정도로 타락하였다. 지난 번 글에서 약속드린 카스.. 2005. 10. 3.
에너지와 자본주의에 대한 小考 5(전) 에너지와 자본주의에 대한 소고(小考) - 5 미국이 원하지 않는 에너지 대란과 October Surprise I must not fear. Fear is the mind-killer. Fear is the little death that brings total obliteration. I will face my fear. I will permit it to pass over me and through me. And when it has gone past, I will turn the inner eye to see its path. Where the fear has gone there will be n.. 2005. 10. 3.
에너지와 자본주의에 대한 小考 5(후) 에너지와 자본주의에 대한 소고(小考) 5-c2 미국이 원하지 않는 에너지 대란과 October Surprise (다섯 번째 이야기 2번째 자락) 지난 토요일 새벽에 올린 다섯번째 글은 대략 절반 정도로 그쳤었습니다. 새벽에 토함산 석굴암을 방문할 계획과 집요한 모기의 공격이 원인이었습니다. 다시 이어가는 글입니다.. 2005. 10. 3.
에너지와 자본주의에 대한 小考 6 에너지와 자본주의에 대한 小考 - 6 쎄븐 시스터즈(Seven Sisters)와 록펠러 하루에 7800만 배럴의 석유와 2700억 입방 피트의 천연 가스. 세계가 돌아가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양이다. 전문가들은 세계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2020년에는 지금보다 약 40% 이상의 에너지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매일 .. 2005. 10. 3.
에너지와 자본주의에 대한 小考 7 에너지 자본의 영역 확대 에너지와 자본주의에 대한 小考 - (7) “The combination is here to stay. Individualism has gone, never to return.” “I want to own nothing and control everything.” “Competition is sin.” - A few selected remarks of John Davison Rockefeller (1839~1937) 일곱 번째 이야기 ? 에너지 자본의 영역 확대 지난 번 이야기에서 거.. 2005. 10. 3.
에너지와 자본주의에 대한 小考 8 유가 상승의 근본 원인 에너지와 자본주의에 대한 小考 8 시사적 이야기 - 석유 가격 46불을 넘자, 고유가에 대한 우려가 점차 공포로 확산되며, 제가 쓰는 이 글이 좀 더 시사성을 갖게 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한 것이 아닙니다. 어쩌면 우리의 다가오는 겨울을 위해서 제가 하는 이야기들이 모두 헛소리.. 2005.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