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주론에서 ‘창조신화’를 만나다 우주론에서 ‘창조신화’를 만나다 △ 천문학자 박창범 교수(왼쪽)와 신화학자 정재서 교수가 서울 홍릉 고등과학원 연구실에서 우주에 관해 대화를 나누고 있다. 관련기사 1960년대 ‘빅뱅뒤 진화’ 무게 인문의 창으로 본 과학의 풍경 과학의 상상력과 인문학의 상상력은 얼마나 가깝게 만날 수 있을.. 2005. 10. 24.
해리포터속 투명망토 사실일까? 해리포터속 투명망토 사실일까? [국민일보 2004-12-13 16:14] 과학교사들의 단골 해외연수지로 꼽히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과학체험관의 일부 전시물이 이번 주말부터 국내에 선을 보인다. 샌프란시스코의 명물인 파인아츠 궁전에 자리잡은 과학체험관 ‘엑스플로러토리움’은 1969년 프랭크 오펜하이머에.. 2005. 10. 24.
1억∼10억살짜리 ‘아기 은하’ 인류와 눈맞추다 1억∼10억살짜리 ‘아기 은하’ 인류와 눈맞추다 [동아일보 2004-12-27 21:21] 한국과 미국의 공동연구팀이 최근에 태어난 ‘아기 은하’를 처음 발견했다.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이영욱(李榮旭·43) 교수는 27일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팀과 함께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자외선 우주망원경 ‘갤렉스(GALEX).. 2005. 10. 24.
인류 나이는 19만5000살 “인류 나이는 19만5000살”…기존 16만년說 뒤집어 [동아일보 2005-02-17 20:45] 현생 인류(호모사피엔스)의 역사는 19만5000년 전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16만 년 전보다 3만5000년 더 오랜 것으로 인류의 역사를 새로 써야 하게 됐다. 미국 뉴욕주립대(스토니브룩)와 호주국립대(.. 2005. 10. 24.
보이저1호, 태양계 밖 외계인 만날까 보이저1호, 태양계 밖 외계인 만날까 [동아일보 2005-05-27 08:24] 우주탐사선 보이저 1호가 ‘지구의 속삭임’을 태양계 밖의 외계에 전달할 수 있을까. 보이저 1호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1977년 9월 목성과 토성 등 외행성을 탐사하기 위해 발사한 우주선. 이 우주선이 28년을 날아간 끝에 마침내 태양권.. 2005. 10. 24.
태양계 10번째 행성 발견 태양계 10번째 행성 발견 [경향신문 2005-07-30 15:09] 영국 BBC방송이 태양계 10번째 행성이 미국 과학자들에 의해 발견됐다고 30일 보도했다. 미국 칼테크의 마이클 브라운 및 하와이 제미니 연구소의 차드 트루히요, 예일대의 대이비드 라위노위츠 등 3명의 미국 천문학자들에 의해 발견된 이 태양계 10번째.. 2005.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