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TC[잡다한것들]/과학 읽을거리

허블망원경으로 본 우주의 신비

by 칠칠너래 2007. 3. 16.

 

우주 망원경이란?

 음... 간단히 보면 우주에 설치된 망원경이라고 하면 되겠네요. 그럼 뭣하러 돈 많이 들여가면서 우주로 망원경을 보내느냐... 하면~ 지상에서 관측하기 어려운 것들을 관측하기 위해서겠죠. 지구는 대기라고 하는 얇은 기체의 막으로 둘러싸여 있죠.

 

이 기체들이 생명체에 해로운 엑스선, 감마선이라든가 자외선등을 흡수해주죠. 덕분에 우리는 살아갈 수 있지만 다른 천체에서 나오는 정보가 많이 흡수되니 우주를 연구하기에는 그만큼 어려움이 생기는 것이죠.

 

또한 대기가 흔들리면서 천체들이 원래보다 크게 보이고 선명해지지가 않죠(시상효과 - seeing effect). 그래서 이런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우주로 망원경을쏘아 올리는거랍니다. 우주 망원경에는 유명한 허블 우주 망원경 외에도 찬드라와 같은 X선 망원경도 있답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의 역사

 우주 망원경이라는 생각은 1920년대에 이미 독일의오베르트에 의해서 제안되었다고 합니다. 당시에는실용화된 로켓도없었기 때문에 이는 당분간 생각으로 그쳐야 했죠. 인류가 달을 정복한 1969년에 이르러서야 미국에서 3m의 우주망원경이 구체적으로 제안되었고 NASA에서 추진이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1977년에 미국 정부는 유럽과 협력한다는 조건으로 2.4m의 망원경을 제작하기로 결정내렸습니다. 이 망원경이 바로 허블 우주 망원경이죠. 허블이라는 이름은 우리 은하가 수많은 은하중의 하나에 불과하고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위대한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Edwin Powell Hubble)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 우주왕복선 챌린저의 폭발사고로 지상에서 발사를 기다리던 허블 망원경은 1990년 4월 24일 디스커버리 호에 실려 드디어 우주로 발사됩니다.


 1990년 5월 20일, 허블은 최초의 별 사진을 지상으로 보내지만 결과는 매우 실망스러웠습니다. 조사결과 망원경의 주반사거울이 잘못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아내었습니다. 결국 광학계 보정장치를 추가하기로 결정하고 1993년 2일 엔데버호를 통해 허블 우주 망원경의 일부 부품이 교체되었습니다. 교체 후 새로 찍은 사진은 계획 당시의 예상과 거의 같을 정도로 선명했고 드디어 본격적인 허블 우주 망원경의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차이가 어느정도나 될까요? 여기를 클릭해보세요. 왼쪽것은 처음의 화상이고 오른쪽은 수리 이후의 사진이랍니다. 차이가 대단하죠?

앞으로...

 허블 우주망원경은 위에 쓰여진 내용 외에도 계속적인 부품교체-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다음 망원경의 프로젝트도 진행중에 있구요. 사실 이런 것을 바라만 봐야 하는 우리의 실정은 아쉽지만요. 앞으로 꾸준한 투자가 진행된다면 우리의 우주 과학도 발전하게 되지 않을까 기대해 보네요^^;

 

차세대 우주 망원경(Next Generation Space Telescope)


 

허블 우주 망원경은 1990년 우주상공으로 발사되었답니다. 약 10여년 전이지요. 그동안 많은 수리 보수가 이루어졌고 이제는 허블 우주 망원경의 뒤를 잇는 차세대 우주 망원경도 이미 준비되고 있답니다. 위은 그림은 차세대 우주 망원경의 후보들인데요, 허블 망원경의 구경은 2.4m였지만 차세대 망원경은 반사 거울의 지름이 8미터에 달할 것이라고 하는군요.

 

그러나 이 망원경은 자외선에서 근적외선에 달하는 파장의 허블 망원경과는 달리 근적외선에서 중간 적외선을 목표로 관측한다고 합니다. 적외선용이기때문에 정확도가 좀 떨어져도 괜찮고 덕분에 보수를 안하고 경비를 줄이려는 계획이죠. 또한 망원경에 대형 빛 가리개를 달아 태양이나 지구로부터 나오는 적외선을 완전히 차단하고자 한답니다.
 이 새로운 망원경은 2007년에 발사될 것이라고 합니다.

 

보다 큰 사진을 보고 싶으신 분은 사진을 클릭해 주시구요. 발표된 원문을 보실분은 이곳을 클릭해 주세요.

 

http://quarksea.cafe24.com/   

 

 

    

Hubble, Edwin Powell /1899-1953

'허블의 법칙'이나 '은하의 분류 방식'으로 유명한 이 과학자는 미국에서 변호사의 아들로 태어나 물리학과 천문학은 물론 권투에도 소질을 보였으며,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서는 법학을 전공하여 변호사로 활약하기도 했다.

이처럼 여러 분야에서 다재다능했던 허블은 1917년 박사 학위를 받고 윌슨산 천문대에서 천문학자로서의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우주의 크기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던 1924년, 허블은 윌슨산 천문대의 100인치 망원경으로 안드로메다 성운 속에 있는 세페이드 변광성들을 여러 개 발견하고 은하까지의 거리가 당시 생각보다는 훨씬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수많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허블은 광원이 관측자에서 멀어지면 빛이 원래의 파장보다 긴 쪽인 붉은색 쪽으로, 그와 반대로 광원과 관측자가 가까워지면 푸른색 쪽으로 이동한 것처럼 관측되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여러 은하를 면밀하게 조사한 끝에 우주가 끝없이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나아가 그는 지구로부터 은하까지의 거리가 얼마나 되며 또 얼마나 빠른 속도로 지구와 멀어져가는지, 그리고 그 은하의 나이는 얼마나 되는지를 밝혀낼 수 있었다.

이후 펜지아스와 윌슨이 우주의 '배경복사'를 관측함으로써 대폭발 이론은 확증되었다. 이러한 그의 업적 때문에 1992년 미항공우주국(NASA)가 쏘아 올린 우주 망원경은 허블의 이름을 따 '허블 망원경'으로 불리고 있다.

 

 

http://hubblesite.org/

Hubble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