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TC[잡다한것들]/etc(잡동사니들)

한국도 핵폭탄을 만들수 있다?

by 칠칠너래 2005. 10. 19.
펌] 한국도 핵폭탄을 만들 수 있다 ?? | 과학의 세계
출처 : 한 중년인의 작은 가들박...



1970년대 어느 해부터 한반도 남쪽에서는 비밀리에 ‘핵무기제조’ 프로젝트가 가동되기 시작했다. 자주 국방에 가장 강력한 무기는 핵무기라는 사실을 누구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 당시 미군철수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었던 터였다. 그래서 1975년 프랑스 SGN사와 ‘핵연료재처리시설’도입을 위한 계약을 미국 몰래 체결한다고 했으나 미국 CIA는 이미 그 내용을 파악하고 있어 결국 무산된 바 있다. 이처럼 이 재처리 공정은 바로 핵무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비핵 개발 도상국가들에게는 상당히 예민한 부분이다.

이번에 우리나라에 관련해 세계적인 이슈가 되었던 것도 바로 재처리를 우리나라가 했느냐의 문제이다.
그 내용인 즉 1982년 고작 0.08g의 플루토늄을 추출하고, 2002년 0.2g의 우라늄을 분리한 ‘죄’ 때문에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5일까지 1차 사찰을 받은 것으로 부족해 엊그제부터 다시 2차 사찰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 정도의 양이면 ‘핵무기’와는 아주 거리가 먼 양이라고 한다.

핵분열시 우라늄235(U235)에 중성자를 충돌시키면 2개의 조각으로 분리된다.
분리되면서 발생되는 에너지는 200Mev이다. 예를 들어 1g의 우라늄을 핵분열하면 약 1000kW의 에너지가 나오는데 100W 전구를 10000개 켤 수 있는 양이다. 이런 핵분열의 반응속도를 완화하여 에너지를 적당량으로 조절하면 인류문명을 이끌어갈 핵발전으로 쓰일 수 있고 반응속도를 순간적, 극단적으로 이용하면 인류문명을 파괴 시킬 핵폭탄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들은 핵 과학자들의 지적 호기심에서 출발한 순수한 실험이었다고 정부는 밝혔다. 그런데 외국에서 왜 그렇게 호들갑을 떨고 있는가? 정말 한국은 핵폭탄을 만들 수 있을 정도의 기술을 가지고 있는 것인가?

반면 일본은 지구상의 유일한 원폭 피해국임에도 불구하고 52기(4574만kw)의 원전에서 전체 전력의 30%를 생산하는 세계 3위의 원자력 발전 대국이다. 게다가 일본은 핵폭탄의 원료가 되는 플루토늄을 2002년 말 현재 국내외에 38t이나 보유하고, 95%의 공정을 보이고 있는 로카쇼무라의 ‘핵연료 재처리’ 공장이 2006년 완공·가동되면 매년 7t의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일본의 원자력 개발이 평화적 이용에 한정돼 있고 군사 전용 의심이 없다고 인정해 연간 사찰 횟수를 절반 이하로 줄이는 이른바 ‘통합보장조치’를 적용하고 있다.

<원자력연구소를 찾은 핵 사찰단>

 한국은 1991년 11월 8일 “우리는 핵에너지를 평화적 목적을 위해서만 사용하며, 핵무기를 제조, 보유, 저장, 배치, 사용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우리의 핵무기 확산 방지조약에 관한 조약과 이에 따른 국제 원자력 기구와 체결한 핵안전조치 협정을 준수하여 한국내의 핵시설과 핵물질을 철저히 사찰을 받도록 함으로써 NPT(핵무기비확산조약)나 IAEA(국제원자력기구)가 금하는 사항이 아닌 우라늄 농축 및 핵연료 재처리 시설을 보유하지 않는다고 표명한바 있다.
그리고 남북한은 1991년 12월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에 합의하고 1992년 1월 이에 서명했다. 그 이후 남한은 적어도 핵에 관련해서는 말 그대로 ‘무장해제’정도의 투명성으로 핵무기 관련 어떤 실험도 없는 것으로 국민들이 알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밝혀진 몇 가지 문제들로 인해 국제적인 신뢰를 잃고, 북한의 핵문제를 푸는데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대두되었다. 당장 북한은 6자회담에 불응하는 이유를 남한의 핵문제로 돌리고 있다.
그래서 9월 18일 정부가 발표한 ‘핵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4원칙’은 국제사회의 신뢰를 구축하고, 평화적 목적의 핵 이용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국가의 정책목표를 천명한 것이다. 정부는 이번 4원칙 발표로 국제사회의 신뢰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한국 핵물질 실험으로 국제원자력기구(IAEA) 추가 사찰단까지 오자 ‘한국은 핵을 평화적으로만 이용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겠다는 뜻이다. 정부가 지향하는 일본 스웨덴 캐나다 등과 같은 모범적인 핵 이용 국 모델이 한결같이 국제사회로부터 신뢰를 얻었기에 가능했기 때문이다.

특기할 만 한 점은 핵무기 비(非)보유, 핵 비확산에 관한 국제규범 준수,핵연료 재처리 및 농축시설 비보유 등을 밝힌 1991년의 ‘한반도 비핵화선언’과 비교할 때 ‘핵의 평화적 이용범위를 확대하겠다.’는 입장이 추가된 것이다. 정부는 이번 발표에서 ‘핵물질 농축 재처리 시설을 갖지 않겠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정부가 밝힌 이용범위 확대는 “4세대 원자로나 핵융합로 등의 기술을 개발해 나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과학기술부 관계자는 “핵기술의 완성을 위해 농축 재처리 등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은 과거의 고정관념”이라며 “미래의 핵기술은 우라늄으로부터 핵물질 분리를 하지 않고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이미 그 기법이 개발되고 있다.”고 말했다